2024년 03월호 구매하기
[최재훈의 시네마크리티크] 진심을 들여다 볼 충분한 시간, 그 축복_<콜미 바이 유어 네임>
[최재훈의 시네마크리티크] 진심을 들여다 볼 충분한 시간, 그 축복_<콜미 바이 유어 네임>
  • 최재훈(영화평론가)
  • 승인 2021.05.03 09: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포스터'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포스터'

뜨겁다고 생각하겠지만, 온기가 없는 차가운 물속에 갇힌 것 같은 시절이 있었다. 그렇게 시린 시절을 나도 보냈다고, 한 때라고, 성장기는 그렇게 차갑고 시린 것이라고 대부분 흘깃, 무심히 바라볼 것이다. 하지만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의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은 조금 다른 시선으로 그 시절을 바라본다. 그 여름, 뜨거웠지만 또한 차가웠던 성장의 기억을 낭만적 관조가 아닌, 아프지만 받아들여야 하는 시간이라고 다독인다.

1983, 이탈리아로 설정된 그 시간, 어쩌면 디지털로 소통 가능한 현재와 그 온도가 달라, 투박하고 거칠지만, 그 까슬까슬한 감각 속에 오롯하게 아련한 기억을 새기기에 좋은 시간들이다. 17살 엘리오의 집에 아버지 펄먼 교수의 보조연구원 올리버가 찾아오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올리버는 6주간 엘리오의 집에 머물면서 아버지를 돕고, 더불어 자유로운 일상을 가족들과 나눈다. 엘리오는 음악에 재능이 있는 무심한 듯 거칠면서도 다정한 매력을 가진 소년이다. 올리버를 바라보는 엘리오의 감정은 그 기복이 심하다. 불쑥 다가갔다가 적의를 드러내며 물러서기도 한다. 온전히 버텨야할 정체성의 혼란 속에, 여자 친구와의 관계도 고민하지만 엘리오의 마음에는 올리버만이 가득하다.

성인과 소년의 경계에 선 엘리오의 날선 감정과 낯선 떨림, 그리고 관능적 욕망이 구체적이었던 원작에 비해 구아다니노 감독은 인물들의 내밀하고 섬세한 감정의 변화를 온전히 티모시 샬라메와 아미 해머의 표정과 몸짓, 긴 한숨과 쉼표가 많은 관계 속에 녹여내면서 훨씬 더 많은 여백과 그로 인한 향기를 남겨둔다. 더불어 두 사람의 사랑을 선정적으로 그리지 않고, 올리버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최대한 배제하면서 엘리오의 감정에 더욱 집중하게 만든다. 깡마른 소년의 몸으로 혼란을 고스란히 맞이하는 티모시 샬라메의 순수한 듯, 자유분방한 연기는 성인과 소년 사이의 사랑이라는 격앙될 수 있는 소재를 첫사랑에 달뜬 소년의 이야기로 정화시킨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스틸 컷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스틸 컷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은 소년의 성장을 다룬 여타 퀴어 영화와 그 결이 다르다. 성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소년들이 결핍과 비밀이라는 그늘에 가려 시들해져 버리지 않는다. 정체성의 혼돈 속에서 무르익지 않아 떠도는 퀴어적 공기를 전반에 깔지만 소년을 열패감에 빠지게 만들지는 않는다. 오히려 주인공의 곁에 속 깊은 여자 친구와 더할 나위 없이 든든한 부모를 배치하며, 공격적인 적을 만들어 두지 않는다. 팽팽하게 당겨진 끈에 묶여 그 구심점으로 되돌아올 수밖에 없는 날선 현실 대신, 아들의 미래를 위해 따뜻한 온기를 전하는 부모의 조언은 낯선 판타지처럼 느껴지지만 꿈꿔보고 싶은 든든한 응원이기도 하다.

뭉클 피어오르는 첫사랑의 아름다운 순간과 놓친 사랑의 아련함을 담아내는 이탈리아의 햇살이 아름답다. 혼자 있는 순간에도 따뜻한 햇살은 인물을 화사하게 비추고, 밤의 외로움에도 비치는 은은한 달빛은 혼자 남겨질 소년의 마음을 다독인다. 적절한 순간에 흘러나오는 음악과 낭만적 정서도 따뜻하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은 지옥의 혼란을 겪는 소년의 감정을 따뜻하게 그리며, 상처입기 쉬운 나이를 혀로 핥으며, 미숙한 사랑을 단죄하지도, 떠난 사랑을 미워하지도 않고, 그냥 그 나이에는 어떤 것도 규정되지 않은 미지의 상태여도 된다고 토닥거린다. 그리고 그 속에서 자신의 진심이 무엇인지 들여다 볼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는 건 축복에 가깝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스틸 컷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스틸 컷

사진출처 : imdb.com_call me by your name

 

 

·최재훈

영화평론가.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졸업. 37회 영평상 신인평론상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등단하였다. 2019년 제3회 르몽드 영화평론가상을 수상하였다. 2018년 이봄영화제 프로그래머, 3회 서울무용영화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객석, 문화플러스 서울 등 각종 매체에 영화와 공연예술 관련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 정기구독을 하시면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는 기사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 합니다.
※ 후원 전 필독사항

비공개기사에 대해 후원(결제)하시더라도 기사 전체를 읽으실 수 없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구독 신청을 하시면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5000원 이상 기사 후원 후 1:1 문의하기를 작성해주시면 1회에 한해 과월호를 발송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