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호 구매하기
"미국이 저지른 아프간의 비극"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9월호 리뷰
"미국이 저지른 아프간의 비극"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9월호 리뷰
  • 김유라 기자
  • 승인 2021.09.01 1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9월호 표지
정기구독 및 교보문고,알라딘 등 인터넷 서점/교보문고, 최인아책방 등 인터넷 서점
_한 권 정가 15,000원

‘세계의 화약고’ 중동지역의 불안한 정세는 이제 남의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카불을 탈출한 아프간인 특별기여자들이 한국에 입국하면서 아프간의 지정학적 상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탈레반은 어째서 그토록 빠르게 카불을 점령할 수 있었을까?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정책은 정말 실패했을까?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9월호는 현지 특파원과 전문가들이 보내온 생생한 정보들을 전한다.

한편, 쿠바혁명의 유례없는 공로자, 체 게바라의 미공개 편지가 대중에게 공개됐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9월호는 체 게바라가 그의 친구와 자녀들에게 보낸 편지를 국내 최초로 소개했다. 체 게바라의 혁명가적 면모, 그리고 한 인간의 삶을 조명한다.

 


탈레반의 아프간 재집권을 낱낱이 파헤쳐

 

 

미군이 세계의 화약고 아프간에서 철수하자마자, 탈레반은 기다렸다는 듯 수도를 집어삼켰다. 아프간 특파원 미엘카레크는 ‘탈레반의 속전속결 아프간 장악, 그 비책은?’ 기사에서 한 시민과 인터뷰했다. “탈레반이 속전속결로 아프간 전역을 장악한 것은 기적이 아닙니다! 국민은 정부의 군벌들에게 질렸어요.”

‘아프가니스탄, 미국의 실패와 혼돈’ 기사는 여기에 “서구권의 각종 실패가 집약돼 있다”고 평가했다. 우선, 미국이 베트남전 이후 그 어떤 무력 충돌에서도 승리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군사적 실패다. 현지 정권은 심각하게 부패해 도덕적으로 실패했으며, 민주주의의 실패다. 또한 탈레반이 단기간에 정권을 잡으려 하니 정치적으로도 실패한 것이다.

 

<내전으로 폐허화한 카불>, 1996 - 디디에 르페브르

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국제연구센터(CNRS-CERI) 연구원 아담 바치코는 ‘중앙정부의 결함을 파고든 탈레반의 해결사전략’ 기사에서 외국기관이 아프간 지역을 재건하기는커녕, 아프가니스탄 기관들을 체계적으로 무너뜨렸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미국 지도자들은 2003년 헌법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에 대통령 체제를 강요하고, 의회와 정당을 무력화했다. 서구 수상들이 법률을 작성하면, 이 법을 대통령이 공표하기도 했다. 

일련의 상황이 맞물려 결국 아프간은 탈레반의 손에 다시 넘어갔고, 중동은 새로운 국제정치의 막을 열었다. 인류학자 조르주 뒤페브르는 ‘미국의 도주, 그리고 새로운 국면을 맞은 지정학’ 기사를 통해 국익에 따라 발 빠르게 움직이는 각국의 상황을 보여준다. 파키스탄과 중국은 ‘연합정부’를 이루려는 파키스탄 편에 선 형국이다. 무엇보다 중국은, 이들을 이용해 신장 위구르 지역 통치를 공고히할 속셈이다. 파키스탄의 숙적 인도는 그동안 아프간 정부를 지원해왔는데, 탈레반의 재집권을 예상치 못한 듯하다. 그들은 “아군을 잘못 골랐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그들의 숨겨진 이야기...

“나의 모든 혁명적 열정으로 당신을 품는다.”

 

 

피델 카스트로와 체 게바라(오른쪽)

 

혁명가는 기존 시스템을 뒤엎고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내는 인물이다. 그 시도가 실패했든 성공했든, 인생을 건 그들의 도전에는 인권을 향하는 숭고미가 있다.

체 게바라 또한 그런 인물이었다. 독재에 신음하던 쿠바를 프롤레타리아 혁명으로 이끈 그는 시대의 사상가·정치가·혁명가로 평가받는다. ‘나의 모든 혁명적 열정으로 당신을 품는다’ 기사를 통해 국내 최초 공개된 편지에서, 그는 이렇게 썼다. “문제는 인간을 하나의 생산도구로, 생산과정의 숫자로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우리 시스템에는 큰 간 극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일에 소명감을 가질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그들이 즐겁게 일하고 지도자와 같은 생각을 가질 수 있을까요?” 체 게바라의 깊은 고민은 노동의 형식과 가치가 급변하는 현대사회와도 겹쳐진다.

 

<발목을 보이지 말라는 탈레반의 조치에 반발한 여성>, 1996

한편, 21세기 가장 격렬하게 투쟁하는 혁명가들은 다름 아닌 여성이다. 그중에서도 아랍의 여성들은 가부장적 제도에 맞서 목숨을 걸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아크람 벨카이드 기자는 ‘아랍 여성들의 #MeToo 운동’ 기사를 실었다. 그에 따르면 그 어떤 아랍 국가도 가정폭력을 명확히 처벌하지 않는다. 강간의 피해자는 감히 고소를 제기하지 못한다. 혼외 성관계를 가졌다는 점을 들어 법원의 조사를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부조리를 대물림하지 않기 위해 수많은 아랍인들이 연대에 나섰다. 어떤 위험을 무릅써야 할지 모름에도 말이다.

 

영화 <모가디슈> 스틸컷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9월호는 이밖에도 ‘티그라이,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화해의 희생양’ ‘시리아 체제는 어떻게 살아남았나?’ 기사를 통해 아프리카-중동의 굵직한 역사를 소개한다. 또한 ‘한국’ 파트에서 ‘내 마지막 숨을 결정할 권리’,와 영화 <모가디슈> 평론글 ‘소말리아 모가디슈의 남과 북, 그리고 아프간’ 등을 실어, 다양한 문화·인문학 이야기를 전한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9월호 목차

 

■ Editorial
세르주 알리미 | 카불로 가는 길
성일권 | ‘사라지는 것’들의 스잔함


■ Focus 초점
가티앵 엘리 | 초가공식품 위생논란, 유기농식품 수요폭증
라울 길리엔 | 맞춤의학의 DNA, 모든 염기서열을 분석하라!


■ Afghanistan 아프가니스탄
로맹 미엘카레크 | 탈레반의 속전속결 아프간 장악, 그 비책은?
마르틴 뷜라르 | 아프가니스탄, 미국의 실패와 혼돈
아담 바치코 외 | 중앙정부의 ‘결함’을 파고든 탈레반의 ‘해결사’전략
아크람 벨카이드 | 카불 다음은 바그다드인가
조르주 르푀브르 | 미국의 도주, 그리고 새로운 국면을 맞은 지정학
마르크앙투안 페루즈 드몽클로 | 사헬 지역과 눈 먼 프랑스


■ Mondial 지구촌
레미 카라욜 | 토니 블레어 전 총리의 자선사업 비즈니스
로맹 미귀스 | 페루, 첫 서민 출신 대통령에 희망과 불안이 교차하다
로라마이 가베리오 외 | 티그라이,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화해의 희생양 
로이크 라미레스 | 파라과이 강, 세상 어디에도 없는 곳으로
아드리앙 클뤼제 | 시리아 체제는 어떻게 살아남았나?
장피에르 테라이 | 의무교육 18세까지 확대시행?


■ Article de couverture
체 게바라 | 60년 만에 공개되는 체 게바라의 편지


■ Economie 경제
프레데리크 르메르 | 채권자가 열광하는 채무


■ Presse 언론
뱅상 시제르 | 표현의 자유에 대한 프랑스의 증오
엄윤진 | 언론이 강요하는 ‘사이비’ 보수와 진보, 그리고 설국 열차


■ Culture 문화
아크람 벨카이드 | 아랍 여성들의 #MeToo 운동
마리 베닐드 | 기후법에 맞서는 광고업계의 로비
프랑수아 알베라 | 페르낭 레제, 영웅적 프롤레타리아의 꿈


■ Corée 한국
안치용 | ‘불쾌한 골짜기’에서 모더니즘을 구출할 수 있을까
조현행 | 내가 감지하지 못하는 ‘권력’
기욤 퐁뒤 | 진화학, 찰스 다윈의 적절한 활용
9월의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추천도서
최재훈 | 소말리아 모가디슈의 남과 북, 그리고 아프간
김지연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쓴다
장윤미 | 내 마지막 숨을 결정할 권리

 

 

글 · 김유라 기자

  • 정기구독을 하시면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는 기사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 합니다.
※ 후원 전 필독사항

비공개기사에 대해 후원(결제)하시더라도 기사 전체를 읽으실 수 없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구독 신청을 하시면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5000원 이상 기사 후원 후 1:1 문의하기를 작성해주시면 1회에 한해 과월호를 발송해드립니다.

김유라 기자
김유라 기자 yulara1996@ilemonde.com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