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호 구매하기
[안치용의 프롬나드] ‘한가위 노동절’을 쇠는 나의 개에게 던지는 공
[안치용의 프롬나드] ‘한가위 노동절’을 쇠는 나의 개에게 던지는 공
  • 안치용 / 한국CSR연구소장
  • 승인 2017.10.03 1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 보름 쇠듯”이란 말이 있다. 옛날에는 정월 대보름날 개에게 음식을 주면 그해 여름에 파리가 꾀고 개가 마른다 하여 개를 굶겼다고 한다. 개에 빗대 곤궁한 형편을 일컫는 옛 말이다. 당사자인 개가 얼마나 곤궁하였을까. 그러나 다른 집 애완견과 마찬가지로, 우리 스콜은 대보름이나 추석이나 곤궁한 적이 없다. 오히려 1년 365일이 한가위라고 할까. 자신이 사람인 줄 아는지 잘 때 굳이 베개를 베고 자야 하는, 그러면서도 그 옆에 애지중지하는 공을 널어 넣고 지내는, 요즘을 사는 나의 개에겐 “개 보름 쇠듯”이 정말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이야기다. 물론 당사자의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청취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니 그냥 그런 것으로 하자.

저녁 무렵 개를 데리고 공원에 갔다가 그 사람을 또 만났다. 나이는 40대 초반으로 단정한 머리에 깔끔한 복장을 하고 있는데 공원에서 늘 소주를 마신다. 아침에 공원 벤치에서 술에 취해 잠들어 있는 모습을 본 적이 여러 번. 추석 전날에도 소주병 두어 개가 어김없이 그의 옆에 있고, 그 기세에 장악되어 정자는 온전히 그의 차지다.

처음 보는 할머니가 전화로 누군가에게 하소연을 늘어놓는다. 걸으며 (들려서) 듣다 보니 며느리 욕이다. 추석 같은 명절엔 대개 가족 간의 갈등이 고조된다. 부부갈등, 형제갈등, 부모ㆍ자식갈등 등 많은 갈등이 목격되지만 명절 갈등의 최고봉은 단연 고부갈등이다. 고부갈등은 근본적으로 가부장제에서 비롯하는데, 갈등의 전선에서 맞닿은 건 통화하는 저 할머니처럼 여성이다.

전래의 명절 중에 가장 큰 명절은 사실 설과 추석이 아니라 대보름과 추석이다. “개 보름 쇠듯”을 비롯하여 대보름과 관련하여 많은 속담이 있듯이, 추석에도 관련한 많은 속담이 있다. 그중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란 속담은 추석의 풍요로움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국세시풍속사전에는 “팔월 추석 때 음식을 많이 차려놓고 밤낮을 즐겁게 놀듯이 한평생을 이와 같이 지내고 싶다는 뜻의 속담”이라고 한다. 사전 집필자는 유래에 관한 옛 문헌을 인용한 뒤 “이때는 오곡백과가 익는 계절인 만큼 모든 것이 풍성하다. 또 즐거운 놀이도 많고 과일도 풍성하고 각종 놀이도 있어 아이로부터 부녀자에 이르기까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즐겁게 지낸다”라고 적었다.

사전의 이 항목 필자가 아마도 나와 같은 남자가 아니었을까. 여자 필자였다면 조금 다르게 쓰지 않았을까. 여자들은 더러 추석을 노동절로 표현한다. 매우 정확한 표현이라고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어려서부터 나에게 추석은 배 불리 먹고 뒹구는, 조금은 귀찮은 명절이었지만, 그 음식과 저간의 정황을 갖추는 데 들어간 어머니의 노동에 대해서는 지금에서야 눈을 돌리게 된다.

 

 

 

 

 

  • 정기구독을 하시면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는 기사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 합니다.
※ 후원 전 필독사항

비공개기사에 대해 후원(결제)하시더라도 기사 전체를 읽으실 수 없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구독 신청을 하시면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5000원 이상 기사 후원 후 1:1 문의하기를 작성해주시면 1회에 한해 과월호를 발송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