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나 삶은 늘 무겁고 무섭지만, 그 무게를 견딜 수 있는 힘은 각자 너무 다르다. 어깨가 약한 사람은 지고 걸어가기 힘들고, 마음이 여린 사람은 맞서는 것이 두렵다. 각자 힘들게 삶의 의미를 찾아 버티는 중에 살아가야 하는, 존재해야 하는 의미를 잃어버린 사람들도 있다. 버려진 쓰레기 더미에서 가치를 잃어버린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빗어보지만 자꾸 뻗치는 머리카락처럼 뾰족해진 마음 앞에 서는 경우도 있다. 그때 선의를 가진 사람들은 자꾸 박수를 치고, 격려하며 힘을 내라고 말한다. 허리를 꼿꼿이 세우고, 힘차게 걷고, 목소리에 힘을 주라고 말한다. 운동을 하거나, 여행을 가거나, 마음을 편히 먹으면 된다고 격려한다. 하지만 그런 선의가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도 있다. 사사베 키요시 감독의 <남편이 우울증에 걸렸어요>는 그런 선의와 격려에 앞서, 우리가 가져야 하는 마음과 태도는 ‘이해’라는 것을 알려준다.
외국계 소프트웨어 회사에 다니는 평범한 회사원 미키오(시카이 마사토)와 인기 없는 만화가 하루코(미야자키 아오이)는 평온해 보이는 부부다. 어느 날 남편 미키오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무력감과 통증에 고통을 받는다. 병원을 찾은 미키오는 우울증 진단을 받는다. 흔히 마음의 감기라고 불리는 우울증에 걸린 남편을 위해 하루코는 서두르지 않고 그를 돕기로 한다. 우선 그녀는 남편의 회사를 그만두게 하고, 적극적으로 만화를 생업 삼아 사회로 뛰어든다.
알려진 것처럼 <남편이 우울증에 걸렸어요>는 일러스트 만화가 호소카와 텐텐의 자전적 에세이 만화를 원작으로 한다. 서두르지 않고, 조용히 우울증에 걸린 가족과 그와 함께 살아가는 아내의 이야기를 풀어낸 원작은 우울증의 증상과 치료의 과정을 차근차근 서두르지 않고, 호들갑을 떨지도 않고 풀어내는데, 영화도 마찬가지의 속도로 천천히 걷는다.
영화는 우울증에 걸린 남편을 돌보는 아내의 고군분투 투병기가 아니다. 우울증이라는 증상을 앓으며 이불 속에 파묻혀 살아가는 것 이외에 어떤 것도 하기 힘든 남자와 그 주변의 가족들이 함께 서로의 손을 맞잡는 이야기다. 거북이를 좋아하는 미키오처럼 영화는 계속 느려도, 멈춰도, 조금도 나아지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한다. 영화는 우울증을 겪는 남편과 아내의 이야기를 감정의 소동이나 격정이라는 기법 없이 원작이 그랬듯 무덤덤하게 바라본다. 그 시간은 쓸쓸하기도 하고, 우울하기도 하지만 그냥 그런 거라고 보여주는 연출은 서두르는 법이 없다. 그리고 응원도 격려도 아닌, 이토록 잔잔한 태도는 마음의 상처를 입은 관객들의 흉터를 스스로 들여다보게 만든다.
엄마, 나는 츠레가 우울증에 걸린 ‘원인’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것 보다 츠레가 우울증에 걸 린 ‘의미’가 뭔지 생각했어.
하루코는 집에 찾아온 엄마에게 이런 말을 한다. 이 대사가 <남편이 우울증에 걸렸어요>가 말하고 싶어 하는 이야기다. 잔잔하게 흐르지만 영화는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이 겪어야 하는 이야기를 놓치지 않는다. 생업에 뛰어든 아내의 고단함과 짜증, 삶의 의미를 잃고 아내에게 짐만 된다고 생각한 남자가 자살시도를 하는 장면도 담아낸다. 그리고 남들이 보기에는 멀쩡해 보이지만 우울증 때문에 자살하는 어떤 사내의 에피소드도 외면하지 않는다.
키요시 감독은 맨발로 차가운 바닥을 딛고 서야 하는 사람이 겪는 서늘함도 전하지만 묵묵히 누구의 편도 들지 않고 마음의 감기, 우울증을 겪는 사람을 바라본다. 우울증에 갇힌 사람들의 삶이 무조건 고단하리란 오해도 지우고, 이유 없는 불안과 우울감에 시달리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이 격려가 아닌, 이해라는 사실도 조용히 읊조리며 공감을 얻어낸다.
오늘의 내가 있는 이유는 어쩌면, 과거의 내 모습을 기억하는 나와 그런 나를 이해하는 타인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과거의 내가 현재에 반영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완전히 삶에 대한 태도가 달라지는 새로운 이런 증상을 마음의 감기, 우울증이라고 표현하지만 영화 속에서 아내는 ‘우주 감기’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치유의 방법이 상대방의 격한 격려가 아니라, 계속 되짚어가야 하는 새로운 삶의 의미라는 사실은 두고두고 새겨봐야 할 명제다.
글을 맺으며 인용하고 싶은 말이 있다. 츠지히토 나리의 소설,『사랑을 주세요』의 한 문장인데, 영화에도 비슷한 대사가 나온다. 우주감기를 겪는 사람과 그들을 바라보는 우리 모두가 새겨야 할 말이다.
힘내라, 열심히 살아라. 격려하는 소리들만 넘치는 세상. 이제 사람들은 그런 말로는 참된 힘이 솟지 않아. 나는 도리어 이렇게 말하고 싶어. 힘내지 않아도 괜찮아라고…….
사진출처 : 네이버영화_<츠레가 우울증에 걸려서>
글·최재훈
영화평론가. 칼럼니스트.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졸업. 제37회 영평상 신인평론상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등단하였다. 2019년 제3회 르몽드 영화평론가상을 수상하였다. 2018년 이봄영화제 프로그래머, 제3회 서울무용영화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객석, 문화플러스 서울 등 각종 매체에 영화와 공연예술 관련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저서로 영화에세이집 『나는 아팠고, 어른들은 나빴다』가 있다.
- 정기구독을 하시면, 유료 독자님에게만 서비스되는 월간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 잡지를 받아보실 수 있고, 모든 온라인 기사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전용 유료독자님에게는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의 모든 온라인 기사들이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