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호 구매하기
[지승학의 시네마 크리티크] 영화<범죄도시 2>: 마석두와 최불암
[지승학의 시네마 크리티크] 영화<범죄도시 2>: 마석두와 최불암
  • 지승학(영화평론가)
  • 승인 2022.10.27 1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언젠가 영화 속 캐릭터들이 기능적으로 다뤄질 때 느껴지는 불편함에 대해 이야기 한 적이 있었다. 전형적인 캐릭터는 소비되고 버려진다는 인식 때문에 그런 말을 했었다. 실제로 그런 방식은 복잡한 관계도 속에서도 결국 한 사람만이 모든 공과를 가져간다. 아무리 영화 속 인물이라지만 모든 것을 독식하는 행태는 너무 비-인간적이다. 그런데 <범죄도시2>는 바로 이런 내 생각에 의문이 들게 만들었다.

 

<범죄도시 2>는 <범죄도시>의 캐릭터를 그대로 차용한다. 마석도(마동석)는 전편과 마찬가지로 그 날도 소개팅을 다녀오는 길이었고 공교롭게도, 거의 비슷하게, 칼을 들고 행패를 부리는 범죄자를 마주한다. 그 이후는 말 안 해도 아는 방식대로 범죄자를 제압한다. 이 부분에서 나는 의아해졌다. 저렇게 대 놓고 같은 플롯을 가져가는데도 당황스럽지 않은 이유는 뭘까.

이런 플롯의 답습은 역설적으로 마석도가 우리에게 안정과 평화를 가져다주는 이유가 된다. 그리고 이 영화의 미덕은 변하지 않는, 아니 변해서는 안 되는 마석도의 이런 능력을 적극적으로 찾으려는데서 찾을 수 있다. 또 다시 천만 관객이 관람할 만큼 속편의 이례적인 이 영화의 성공은 이런 해석에 힘을 실어 준다.

 

그러면 왜 우리는 마석도에게 안정감을 느끼게 되는가? 전형적인 캐릭터가 보여주는 무의미함이 유독 강렬한 캐릭터로 돌변하게 된 것이라면, 모르긴 해도, 그 기저에는 본질적인 어떤 불안감을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싶은 마음이 작동해서 그러는 것은 아닐까? 이를테면 알아 챌 수 없는 거짓과 진실의 왜곡이 자신을 괴롭히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그런데 그것이 거의 불가항력적으로 다가와 괴롭힌다면 더욱 그러지 않을까?

 

“형은 다 알 수가 있는데”라는 마석도의 말과 ‘진실의 방’은 바로 이 불안함에 대한 정답을 제시해주는 은유다. 이건 단순히 진실을 실토하게 만든다는 의미가 아니라 마석도의 완전한 안정감을 상징하는 말인 것이다. 그러면 이 영화를 보고 열광하는 사람들에게는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지금 우리 사회는 정말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한 왜곡이 심하다. 그러다보니 우리는 어떤 진실과 대면하는 일에 서투르고 막연한 두려움에 치를 떤다. 게다가 그런 증상의 정확한 원인을 찾기도 힘들다. 개인은 집단으로 집단은 개인으로 뭉치거나 흩어지는 틈을 타 거짓은 요리조리 모습을 바꿔가며 우리를 혼란에 빠트린다. 하지만 마석두 앞에서면 그 거짓은 바짝 긴장한 채 한 치의 왜곡도 없는 진실로써 자기를 드러내게 될 것이다. 그 의심 없는 과정이 이 영화의 흥행 포인트이다. 진실과의 대면은 늘 그렇게 솔직함의 방식을 따라 이뤄져야 한다. 그걸 마석두는 늘 해낸다.

 

이제 남은 것은 솔직함에 저항하는 자의 응징 방식이다. 여기서 놓치면 안 되는 것은 그 방식이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긴 하지만 정당한 폭력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의도는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는 우리 사회가 지향하는 폭력에 대한 금기를 정당한 폭력이라는 서사의 마련으로 극복하려고 하는 것처럼 보일 지경이다. 다만 그 형식이 공감을 얻으려면 솔직함에 저항 하는 자 역시 순수하게 저항해야 한다는 것이다. 강해상(손석구)이 보여주는 광기에 가까운 돈에 대한 집착은 순수함의 또 다른 버전이다. 그러니 마석두와 강해상은 ‘솔직함을 끌어내는 자’와 ‘순수함을 추구하는 자’와의 충돌이라고 할 때 기어이 쥐어짜낼 수 있는 폭발력을 극한까지 밀어붙일 수 있게 된다. 마석두의 비인간적인 주먹질이 중단시켜 버리는 강해상의 광기어린 분노는 <범죄도시>의 플롯으로서는 필수적인 마무리인 셈이다.

 

어린 시절 MBC 드라마 <수사반장>의 최불암 배우의 등장은 그 등장만으로도 초반 범죄자들의 악행으로 인한 불안함을 떨쳐 낼 길이 없었던 나에게 깊은 안도감을 주기에 충분했다. 단지 두 편의 영화에 불과한 <범죄도시> 시리즈는 적어도 나에게 만큼은 어린 시절 <수사반장>의 최불암 배우를 보고 느꼈던 안도감을 또 다시 느끼게 해준다. 마찬가지로 <범죄도시> 시리즈 역시 <수사반장>이 그러했듯 한국사회의 집단적 불안감을 서사의 주요한 계기로 들여놓은 후 마석도라는 절대적 캐릭터를 통해 안정감을 극대화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 때 그가 행하는 폭력은 ‘윤리적인 니즈’와 ‘사회적인 만족’을 충족시켰다고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범죄도시> 시리즈는 확실히 안정감의 전달에 있어서 그 배분의 조율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마석두의 감정은 지나치지 않았고 강해상의 집착은 납득할 만 했다. 그런 안배 탓에 배우들의 연기는 정서적인 강도를 높여도 그 정도 조절이 가능했다. 그래서 나는 이 영화가 이런 가치를 끝까지 밀고 나가는 한 마석두라는 캐릭터 반복에 지지를 보내고 싶다. 왜냐하면 마석두와 같은 캐릭터가 사실은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물기 때문이고 그 시절 왠지 모를 안도감을 느끼게 해주는 묘한 노스탤지어를 불러 일으켜 주기 때문이다.

 


글·지승학
영화평론가

  • 정기구독을 하시면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는 기사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 합니다.
※ 후원 전 필독사항

비공개기사에 대해 후원(결제)하시더라도 기사 전체를 읽으실 수 없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구독 신청을 하시면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5000원 이상 기사 후원 후 1:1 문의하기를 작성해주시면 1회에 한해 과월호를 발송해드립니다.